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중식
- 건대입구역
- 유산소
- 달리기
- Podman
- 10km
- GitHub
- 성수대교
- 힐링
- 대구
- Python
- 한강
- Run The Bridge
- 대전
- docker
- 맛집
- 하체
- Grafana
- 2021
- zabbix
- Kubernetes
- 정보처리기사
- 오답노트
- Linux
- 자전거
- DSEC
- Shell
- 러닝
- 소모임
- 뚝섬유원지
- Today
- Total
Run The Bridge
disk i/o 확인하기 본문
0. 들어가기에 앞서

Linux에서도 윈도우처럼 memory, cpu, disk에 관한 속도를 알아볼 수 있다.
나도 정확히 disk i/o를 리눅스상에서 어떻게 보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몰라서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공부해보려 한다.
1. Linux Disk i/o 확인
리눅스에 'iostat'라고하는 명령으로 디스크 I/O를 확인할 수 있다.
iostat라고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나는 -h 옵션을 줘서 유저가 읽기 쉬운 단위로 변경했다.
root@p-iskim-master ~ # iostat -mh
Linux 3.10.0-1160.el7.x86_64 (p-iskim-master) 2022년 03월 12일 _x86_64_ (8 CPU)
avg-cpu: %user %nice %system %iowait %steal %idle
16.12 2.50 14.36 1.16 0.00 65.87
Device: tps MB_read/s MB_wrtn/s MB_read MB_wrtn
sda
108.24 0.03 0.90 26499 802609
dm-0
108.84 0.03 0.90 26465 802605
dm-1
0.00 0.00 0.00 2 0
dm-2
0.00 0.00 0.00 2 2
하나씩 컬럼을 살펴본다.
옵션 | 뜻 |
avg-cpu | 평균 cpu 사용량 |
%user | 사용자가 실행하는 동안 발생한 CPU 사용률 |
%system | 시스템에서 실행하는 동안 발생한 CPU 사용률 |
%iowait | 시스템에 해결하지 못한 디스크 I/O 요청이 있는 동안 CPU가 유후 상태였던 시간의 백분율 |
%steal | 하이퍼바이저가 다른 가상 프로세서를 서비스하는 동안 가상 CPU가 무의식적으로 대기하는 데 소요된 시간의 백분율 |
%idle | CPU가 유후상태이고 시스템에 해결하지 못한 디스크 I/O요청이 없는 시간의 백분율 |
밑에는 Device에 대한 디스크 I/O 값을 볼 수 있다.
옵션 | 뜻 |
TPS | 해당 device로 실행된 초당 전송 수(장치에 대한 I/O)요청 |
MB_read/s | 장치에서 읽은 데이터 양의 초당 블록 수 |
MB_wrtn/s | 장치에 쓴 데이터 양의 초당 블록 수 |
MB_read | 읽은 총 블록 수 |
MB_wrtn | 쓴 총 블록 수 |
자 그러면 이러한 디스크 I/O값으로 우리는 무얼 할 수 있을까?
2. Disk I/O의 응용
내용 자체가 어려워서 나도 어떻게 응용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뭔가 disk가 갑자기 느려지거나, 읽기, 쓰기 작업이 되지 않을 때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서 분석해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다음의 명령으로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값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명령어에 대한 설명은 블로그 주소를 달아두겠다.
iostat -dxm 1 -p ALL | grep -iw "device\|sda\|nvme0n1" | awk '{now=strftime("%Y-%m-%d %T "); print now $0}'
아래에 블로그에 disk i/o에 대한 정리가 잘 되어있으니, 한 번 보는 걸 추천한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hn?isHttpsRedirect=true&blogId=hanajava&logNo=221397600043
[CentOS 7] iostat - 디스크 IO 확인
1-1 iostat 소개- iostat 이란? 한줄 요약 : Disk 의 read/write 통계지표 및 CPU 사용율, queue 대기...
blog.naver.com
3. 여담
요새는 disk보다는 ssd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라 disk i/o를 확인하는 게 의미가 있나?라고 생각했지만 시놀로지 NAS 같은 것은 아직도 DISK를 사용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ssd도 RAID 구성이 되는지는 모르겠는데 Disk에서 유명한 RAID 구성이 가능하므로 Disk i/o의 확인은 생각보다 중요해 보인다.
감사합니다.
'Cloud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dman 4.0.0 install (2) | 2022.03.07 |
---|---|
알마 리눅스, 로키 리눅스 (0) | 2022.03.04 |
package의 의존성 파일 출력 및 설치 (1) | 2022.02.22 |
Ansible-playbook, 숫자 입력만으로 원하는 곳 실행하기 (0) | 2022.02.16 |
shell-script로 계산기 만들기 (2)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