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loud (74)
Run The Bridge
kubernetes를 사용하다 보면 환경변수를 적용하게 되는데 ConfigMap 또는 Secret 을 생성해서 env에 key, value를 적용하는 방식인 ConfigMapRef와 secretKeyRef를 선언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해당 방식은 1:1 대응이기 때문에 N개 이상의 환경변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yaml에 정의해야 할 값이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envFrom을 통해 N개 이상의 환경변수를 Pod내에 Mount 해보려고 한다. 1. ConfigMap 생성 아래와 같이 꽃, 동물, 과일에 대한 key를 넣고 key에 맞는 value를 선언해주었다. apiVersion: v1 data: FLOWER: "ROSE" ANIMAL: "DOG" FRUITS: "APPLE" ..
네임스페이스를 구분하여 작업할 때가 많은데 그때마다 "-n"을 붙여서 Pod를 조회하는 게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이렇게 많은 namespace를 일일히 언제 옵션 주고 있을까..? root@p-iskim-master ~ # kubectl get namespace NAME STATUS AGE acc-global Active 23d acc-system Active 23d default Active 23d iskim Active 23d kube-node-lease Active 23d kube-public Active 23d kube-system Active 23d 그래서 kubens라는 오픈소스가 있는데, kubens는 외부망이 되어야 하는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ㅠㅠ.. kubens도 결국 kuber..
Kubernetes Cluster를 운영하다 보면 개발, 스테이징, 운영 이렇게 나눠서 운영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예시로 node1, node2, node3이 있다면 node1(개발), node2(스테이징), node3(운영)으로 지정할 텐데 node1에는 개발을 위한 Pod만 배포되어야 하고 node2, node3번도 각 역할에 맞게 앱들이 서비스되어야 한다. 물론 taint, toleration 설정을 해줘도 되지만, taint, toleration은 DaemonSet으로 배포된 Pod들도 설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우리는 그것보다 편한 네임스페이스를 구분하여 Pod들을 배포해 본다. 1. Node에 label 부여 먼저 나의 Cluster 구성은 worker01, 02, 03이 존재하..
$RANDOM 이라는 매개변수를 이용한다. linux에 RANDOM이라는 변수를 이용해서 무한 루프도는 쉘 스크립트이다. '$RANDOM%' 뒤에 '1001+2000'은 '2000~3000' 사이 숫자를 랜덤으로 출력한다. 100의 자리로 설정하려면 '101+' 로 설정하면 된다. #!/bin/bash while true do for i in $(($RANDOM% 1001+2000)) do echo ${i} sleep 1 done done 결과화면 출처: https://nirsa.tistory.com/122 [Bash Shell Script] 쉘 스크립트 랜덤 문자열, 난수 생성(랜덤 숫자) 쉘 스크립트 랜덤 문자열 리눅스의 /dev/urandom을 이용해 랜덤 문자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 #!/bin/..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Liunx를 사용할 때 putty, mobaXterm, SecureCRT 등 터미널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나는 mobaXterm를 즐겨 사용하고 있다. mobaXterm에 동일 서버에 여러 개의 세션을 띄워두면 아래와 같이 w 명령어로 확인이 가능하다. 'w' 명령어로 현재 열린 세션에 어떤 명령어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근데 이렇게 세션을 열어두고 강제 종료된다면 어떻게 될까? 이렇게 세션은 하나인데, top과 watch 명령어가 계속 돌아가고 있다. 이럴 때 PID라도 나온다면 kill 명령어를 활용할 텐데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이때 'ps -lt' 명령어로 pid를 확인할 수 있다. man ps 명령어로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다. t ttylist Select by tty. Ne..
나는 /bin/bash만 많이 사용해서 expect라는 게 있다는 것도 얼마 전에 알았다. 오늘은 expect를 이용하여 원격지 파일을 가져오는 코드를 작성한다. 물론 그전에 원격지 서버에 어떤 파일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는 알고 있어야 한다(ex: /root/2022-07-29.text.txt) 간단하게 짠거라 별 기능은 없다 ㅎㅎ... sftp를 이용해 파일을 가져오는 코드만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했으면 좋겠다. #!/usr/bin/env expect set user [lindex $argv 0] set hostip [lindex $argv 1] set password [lindex $argv 2] spawn /usr/bin/sftp ${user}@${hostip} expect "${user}@${h..
vi 편집기를 잘 다루면 사람이 엄청 멋있어 보인다... 그래서 공부하면서 익힌 vi 단축키를 공유해서 우리 모두 멋진 사람이 되어 봅시다 ~★ bash shell 글처럼 gif랑 같이 하려고 하니까 너무 귀찮다... 일단은 명령어만 우선적으로 정리한다. 모든 단축키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이동 h: 커서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1칸 이동 j: 커서를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1칸 이동 k: 커서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1칸 이동 l: 커서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1칸 이동 w: 커서를 기준으로 마디 단위로 앞으로 이동 b: 커서를 기준으로 마디 단위로 뒤로 이동 shift + 6(^) 또는 0: 커서를 해당 행의 맨 앞으로 이동 shift + 4($): 커서를 해당 행의 끝으로 이동 삭제 dw: 커서 기준으로 앞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