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 The Bridge
CKA 합격 후기 본문
728x90
일요일에도 시험을 응시할 수 있어 4월 23일 일요일에 시험 응시
4월 24일 월요일 합격 발표를 받았다.
CKA 공부 방법이라던지 그런 건 다른 블로그들이 친절하게 써놔서 별도로 적진 않겠다.
점수는 81점으로 합격하였다.
커트라인이 74점으로 알고 있는데, 66점으로 내려갔네... 이 정도면 웬만하면 다 합격할 수 있을 듯하다.
물론 나는 실무에 있으면서 kubernetes 명령어도 많이 쓰고 트러블 슈팅도 많이 해보면서 경험을 많이 쌓았지만
처음 도전하시는 분들도 Udemy(유명한 거 아시죠? ㅎㅎ) 강의도 듣고
killer.sh도 풀어보면 할만한데?라고 충분히 생각이 든다.
특히 killer.sh는 실무에서도 사용할만한 명령어라던지 응용 방법을 잘 알려줘서 꼭 풀어보길 바란다.
처음 시험 등록은 2022년 4월에 했는데 ㅋㅋ.. 자신이 없어서 등록만 해두었다
1년을 미뤘지만 드디어 취득~
올해 CKAD, CKS까지 모두 노려서 3관왕 도전이 목표이다.
출제된 문제 간단 정리(순서는 맞지 않음)
1. sa생성, clusterrole 생성, clusterrolebinding 생성
- deploy, sts, daemonset(resource)
- create(verbs)
2. kubeadm, kubectl, kubelet 업그레이드 1.25 → 1.26
3. etcd 백업
- cacert, cert, key 위치 다 알려줌
- 저장위치도 알려줌
4. sidecar 생성
- busybox sideCar 추가하여 log tail 하는 명령어 추가하기(빈 볼륨 생성 필요 emptydir)
5. CPU 많이 사용하는 pod 찾아서 txt에 입력
6. service 생성 및 expose하기(선언형 사용)
7. ingress 생성 및 mapping 하기
8. node NotReady 원인 찾고 해결하기(clinet-ca-bundle:: 이렇게 표시되길래 해당 옵션이 없었고, 그냥 kubelet 재시작 하니까 running으로 올라옴)
9. deploy(loadbanacer) replicas 5개로 늘리기
11. sidecar 2개 만들기(redis, memcached)
12. networkpolicy 만들기(namespace간 접근만 가능하게...이거 좀 어려워서 거의 반 포기)
13. pv 만들기(스펙 전부 주어짐, docs 참고하면 간단)
14. pvc 생성 및 bound, deploy 스펙에 mount 하기, 그리고 pvc 크기 변경하기/edit, patch 사용/(storageClass 사용함)
15. 특정 Node 사용불가로 만들고 Pod 재 스케줄링하기(cordon, drain 사용)
16. nodeSelector 이용해서 특정 노드에 배포하기(disk=ssd)
17. log 확인해서 ERROR 로그만 특정 위치에 저장하기(grep으로 필터링함)
18. ready 상태인 node 개수 출력하기(taint 되어 있는 node는 포함하지 않음)
※ pod, svc 만들 때 항상 문제에 제시되는 이름으로 만들기(주의)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