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한강
- 대전
- 맛집
- 성수대교
- Kubernetes
- zabbix
- Grafana
- 2021
- 달리기
- 유산소
- Python
- DSEC
- 힐링
- Shell
- 하체
- 대구
- 소모임
- 러닝
- 건대입구역
- 오답노트
- Linux
- 10km
- GitHub
- 뚝섬유원지
- docker
- 자전거
- 중식
- Podman
- 정보처리기사
- Run The Bridg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efault (1)
Run The Bridge
kubectl config로 default namespace 변경 하는 방법
네임스페이스를 구분하여 작업할 때가 많은데 그때마다 "-n"을 붙여서 Pod를 조회하는 게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이렇게 많은 namespace를 일일히 언제 옵션 주고 있을까..? root@p-iskim-master ~ # kubectl get namespace NAME STATUS AGE acc-global Active 23d acc-system Active 23d default Active 23d iskim Active 23d kube-node-lease Active 23d kube-public Active 23d kube-system Active 23d 그래서 kubens라는 오픈소스가 있는데, kubens는 외부망이 되어야 하는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ㅠㅠ.. kubens도 결국 kuber..
Cloud/k8s
2023. 3. 22.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