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대구
- Grafana
- 건대입구역
- 뚝섬유원지
- 한강
- 자전거
- Podman
- Run The Bridge
- 달리기
- Linux
- zabbix
- DSEC
- 성수대교
- 유산소
- 오답노트
- Shell
- GitHub
- Kubernetes
- 중식
- Python
- 대전
- 정보처리기사
- 맛집
- 러닝
- 2021
- 10km
- docker
- 하체
- 힐링
- 소모임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patch (1)
Run The Bridge
kubectl apply, create, patch, replace 비교
0. 들어가기에 앞서 kubernetes에는 yaml 파일로 pod을 생성할 때 다양한 명령어들이 존재하는데 apply, create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그렇게 생성된 pod에 편집을 할 때는 patch, replcae와 같은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편집을 한다. 이번에는 각 명령어들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정리한다. 1. Pod 생성 명령어의 간단한 테스트를 위해 kubernets docs에 있는 nginx pod를 이용한다. 이름은 nginx-apply로 주고 apply 명령어로 생성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nginx-apply spec: containers: - name: nginx-apply image: nginx:1.14.2 ports: ..
Cloud/k8s
2022. 3. 20. 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