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 The Bridge
CR/LF 본문
728x90
코딩을 하다 보면 CR/LF라고 적혀있는 단어를 많이 보게 되는데 과연 무엇을 뜻하는 걸까?
밑의 사진은 notepad++의 하단 바에 위치한 내용이다. 역시 Windows(CR LF)라고 적혀있다.
오른쪽 버튼을 눌렀을 때는 3개의 버튼을 볼 수 있는데
- Windows(CR LF)
- Unix (LF)
- Macintosh (CR)
3개가 정의되어 있다. 과연 CR/LF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 한 번 알아보자
0. CR(Carriage Return)
캐리지 리턴(Carriage Return) 또는 간단한 리턴(return)은 문자의 새 줄을 시작하는 데 쓰이는 제어 문자나 그 구조를 가리킨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
먼저 Carriage와 Return의 뜻부터 알아보자.
Crriage: 운반, 수송
Return: 되돌아 가다
운반, 즉 글자들을 쭉 적다가 처음으로 되돌아간다?라는 뜻으로 유추된다.
CR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cursor)'를 맨 앞으로 이동시킨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1. LF(Line Feed)
새 줄 문자(newline)는 텍스트의 한 줄이 끝남을 표시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이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83%88%EC%A4%84_%EB%AC%B8%EC%9E%90
Line Feed는 현재 커서(cursor)의 위치를 바로 아랫줄로 이동시킨다는 뜻이다.
CR/LF는 모두 타자기에서 유래되었는데, 타자기에서 한 줄을 다 치게 되면, 종이를 한 줄 간격만큼 올리고 글자를 치기 위해 종이를 오른쪽 끝으로 이동시켜야 합니다.
종이를 한 줄 간격만큼 위로 올려주는 행위를 LF(Line Feed)라 하고,
종이를 오른쪽 끝으로 보내주는 행위를 CR(Carriage Return)이라고 합니다.
2. etc
CR은 ASCII code로는 13번
LF는 ASCII code로는 10번
윈도에서는 CR+LF를 합쳐서 Enter로 명칭 합니다.
728x90
'왜 그렇게 불릴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정리 (0) | 2022.07.25 |
---|---|
'e.g.', 'i.e.' (0) | 2022.01.06 |
'API' (0) | 2021.07.15 |
'Side Project' (0) | 2021.07.15 |
'IDE'란? (2) | 2021.07.1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