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답노트
- 성수대교
- 맛집
- 자전거
- 하체
- 중식
- GitHub
- Python
- 힐링
- 2021
- 10km
- 한강
- Shell
- 뚝섬유원지
- 대전
- DSEC
- Run The Bridge
- zabbix
- Grafana
- docker
- Kubernetes
- 유산소
- 정보처리기사
- 건대입구역
- 달리기
- 대구
- 소모임
- 러닝
- Podman
- Linux
- Today
- Total
목록Cloud/Linux (26)
Run The Bridge

0. 들어가기에 앞서 상어가 피 냄새를 맡고 사냥감에 다가오듯이, 네트워크 패킷 냄새를 맡고 다가온다고 해서 wireshark wireshark는 네트워크 패킷의 흐름도를 캡처할 수 있어서 특정 호스트로부터 네트워크 패킷 흐름을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wireshark는 비단 윈도우뿐만 아니라 linux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다음 명령을 통해 설치할 수 있다. yum -y install wireshark gnome-wireshark 근데 이 명령은 linux의 runlevel이 5부터인 GUI 환경에서 지원하므로 runlevel이 3인 multi-user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참고로 나의 runlevel 확인 방법과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root@p-iskim-mas..

0. 들어가기에 앞서 linux의 수많은 command 중에 lsof라고 있다. lsof는 'list open files'의 약자로 현재 열려있는 파일들의 나열이라고 보면 된다. 더 자세히는 열려있는 모든 파일과 그 파일들을 열고 있는 프로세스들의 목록을 출력한다. 이 lsof를 어떤 용도로 사용하면 우리의 linux가 좀 더 편안해질까 알아본다. https://ko.wikipedia.org/wiki/Lsof 1. 실습 lsof의 head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COMMAND, PID, TID, TASKCMD, USER, FD, TYPE, DEVICE, SIZE/OFF, NODE, NAME 명령어 설명 COMMAND 실행한 명령어(ex: bash, systemd) PID Process ID TID..

0. 들어가기에 앞서 얼마 전에 podman 관련해서 포스팅을 하였다. 그때는 Centos7.x 버전으로 설치하여서 podman 버전이 1.6.4로 매우 낮은 버전이었다. 현재 github상에서는 4.0.2까지 릴리즈 된 상태로 오늘은 Centos8.x로 podman 4.0.0버전을 구축해본다. 그리고 github에 있는걸 build 해서 구축한 블로그를 못봐서 내가 직접 할려고한다...!!! https://github.com/containers/podman GitHub - containers/podman: Podman: A tool for managing OCI containers and pods. Podman: A tool for managing OCI containers and pods. - Gi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0. 들어가기에 앞서 Linux에서도 윈도우처럼 memory, cpu, disk에 관한 속도를 알아볼 수 있다. 나도 정확히 disk i/o를 리눅스상에서 어떻게 보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몰라서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공부해보려 한다. 1. Linux Disk i/o 확인 리눅스에 'iostat'라고하는 명령으로 디스크 I/O를 확인할 수 있다. iostat라고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나는 -h 옵션을 줘서 유저가 읽기 쉬운 단위로 변경했다. root@p-iskim-master ~ # iostat -mh Linux 3.10.0-1160.el7.x86_64 (p-iskim-master) 2022년 03월 12일 _x86_64_ (8 CPU) avg-cpu: %user %nice %system %iowa..

0. 들어가기에 앞서 linux나 ubuntu 같은 OS에서 패키지를 설치할 때 yum, apt-get을 많이 사용한다. 또는 rpm파일을 직접 받아와서 rpm -Uvh 명령으로 설치하는데 rpm 명령을 사용하면 의존성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rpm 패키지를 묶어서 배포까지 한 번 해본다. 1. Package 검색 우선은 내가 설치하려는 package의 이름으로 의존성 파일을 검색한다. 나는 얼마전에 포스팅한 podman 관련하여 의존성 파일을 찾아본다. 다음의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패키지의 의존성 파일을 알 수 있다. rpm -qR podman # rpm -qR [패키지명] /bin/sh catatonit config(podman) = 0:3.0.1-2.el7.3.1 con..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0. 들어가기에 앞서 shell script 강의가 끝났다. 이를 활용해서 계산기를 만들어본다.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는 숫자, 입력 기호, 숫자를 입력하는 형식이다. 우리가 작성하는 스크립트도 다음과 같이 무한입력을 받는 방식으로 짜 본다. 1. 체크리스트 작성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 사용자한테 사칙연산 기호를 입력받는다. 사용자의 입력을 다시 받는다. 계산 결과를 출력한다. 계속 계산 유무를 입력받는다. 5-1. 계속 계산: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사칙연산 기호의 입력도 받는다. 5-2. 계산 중단: 계산결과를 출력하고 계산기를 중단한다. 끝 2. 계산기 작성 우선 calc.sh라는 파일을 만든다. vi calc.sh chmod +x calc.sh --- 작업을 하다가 블로그 글이 모두 날아갔다...